중화국이 희토류를 무기화 할 수 있는 이유
Fori
이슈
1. 희토류는 뭐고 왜 필요한가?

희토류 말그대로 희귀한 물질이단 뜻으로 rare earth element로 일반적으로 흙을 파면 PPm단위로 조금씩 있긴 하다.
당연히 채산성이 안나오겠지만 말이다. 위 주기율표에서 보면 스칸듐, 이트륨 그리고 란탄에서 루테늄까지의
물질을 이야기 한다. 예들은 f 오비탈 형태이고 이런 구조가 갖는 많은 장점들 화학적 안정성, 강한 자기 모멘트, 촉매, 좋은 광학
특성이 있어서 곳곳에 쓰인다. 네오디윰 자석, 세리아는 반도체 연마제, 코팅제, 이트륨은 초전도체이 외에도 다양한 전자제품에
꼭 들어가야 해서 비타민같은 존재라고 할수 있다.

중국 바이얀 오보사의 희토류 광산 위성 사진
2. 근데 희토류는 왜 중국에들만 생산하는가?
대충 희토류 생산은 중국이 70% 정도 차지하고 다른 나라도 생산 하긴 하지만 중국하고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편이다.
일단 희토류는 대략 2-3% 정도의 함유량이 있으면 경제성이 있다. 그런 광산이 중국, 미국, 호주등에 있고 특히 중국에 많이 있다.
근데 가장 큰 문제는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에 있다.
공정이 아주 X같은데
1. 희토류가 많은 지역의 광석 모나자이트, 바스트네사이트 같은 광석을 분쇄해서 가루로 만든담에 물에 넣고
인산염류을 때려 부어서 떠오르는 희토류 농축물을 만들어서 퍼낸다. 이 과정에서 80-90% 넘는 물질은 폐기물
아래 내용 확인하고
계속 읽어 보세요!
원하지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