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 유일무이? 즐겁게(?) 살다간 왕

조선 유일무이? 즐겁게(?) 살다간 왕

띠로리리
Middle 조회수 161

3c9562a431af2ea339104da661655d7f_1741181398_6734.jpg


바로 조선 제2대 왕이자 태종 이방원의 형님 정종(공정왕) 되시겠다.


흔히들 대중매체에선 존재감없이 그려지지만..


조선에서 가장 편하고 재밌게 살다간 왕이 아닐까 싶다.



3c9562a431af2ea339104da661655d7f_1741181429_1382.jpg

정종은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.


본래 형인 이방우가 차기 가문의 후계자로서 키워졌다면, 이방과는 이성계의 실질적인 장남이라고 할 정도로 무장(武將)으로서 큰 족적을 남겼다.


그 유명한 황산대첩에서도 함께했고 이외에도 여러차례 왜구를 무찔렀다.


심지어는..


왜적(倭賊)이 문화현(文化縣)·영녕현(永寧縣)의 두 현(縣)에 침구하니, 영안군(永安君)과 동지중추원사(同知中樞院事) 장사길(張思吉)과 상의중추원사(商議中樞院事) 곽충보(郭忠輔)를 보내어 이를 치게 하였다.

-태조실록3권, 태조 2년 6월 6일 경진-


조선에서 왕자신분으로 유일하게 최고 군사령관으로서 역할을 하며 왜구를 무찌르기도 했다.


그러던 어느 날...




정종은 병상에 누워 있는 아버지의 쾌유를 비는 제사를 지내고 있었는데..




3c9562a431af2ea339104da661655d7f_1741181458_6852.jpg

동생들이 반란(제1차 왕자의 난)을 일으켰다는 소릴 듣고는 놀라 숨어있다가 얼떨결에 세자에 책봉된다.


1주일 뒤 왕(정종)이 된 그는 이내 동생 정안군 이방원을 아들로 삼겠다며 세자로 책봉한다.



왕이 됐지만 그는 내내 궁궐의 한가로운 삶이 지루한 듯..




3c9562a431af2ea339104da661655d7f_1741181490_9896.jpg

왕임에도 정무는 실질적으로 권력을 지닌 이방원에게 일임하고 격구나 사냥을 즐기며 살았다.


이방원에게 양위한 뒤에도 그에게 깍듯이 예우를 받았고 평소에는 여러 핑계를 대며 전국을 떠돌며 온천여행을 다녔다고 한다.


태종도 말년에는 형 정종의 삶을 매우 부러워했다고.





그러나 강골인 정종도 세월은 못이겨서 셋째 조카(세종)가 즉위하는 것을 보고 이듬해 1419년, 63세의 나이로 천수를 누리고 사망한다.




개인적인 의견으론 야심이 큰 영웅이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다.


하지만 별탈 없이 재밌게 인생을 살다 가는 건 권력에 욕심을 갖지 않고 충실하게 제 삶을 살아간 정종같은 인물이 아닐까.


-끗-




출처-  에펨코리아 



 


아래 내용 확인하고
계속 읽어 보세요!


원하지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.



레팅 인기글






사이트 현황
  • · 현재 접속자 800(1) 명
  • · 오늘 방문자 16,095 명
  • · 어제 방문자 38,443 명
  • · 최대 방문자 158,437 명
  • · 전체 방문자 44,339,462 명
  • · 전체 게시물 35,324 개
  • · 전체 댓글수 1,456 개
  • · 전체 회원수 988 명